filter() 메소드는 자바스크립트의 배열 자체가 갖고 있는 함수다.
filter()메소드는 기존 배열(A)에다가 붙여서 쓰는데, 결과적으로 새로운 배열을 return 한다. 이 메서드 안에서 쓰인 콜백함수의 매개변수로 기존 배열(A)의 요소를 넣었을 때, 콜백함수가 리턴하는 값이 true 인 요소들만으로 배열을 새로 하나 만들어 return 한다.
코드를 보자.
// 변수를 선언합니다.
let numbers = [273, 52, 103, 32, 57, 24, 76]
// 처리합니다.
// (1) 홀수만 추출하는 filter()
numbers = numbers.filter((x) => x % 2 === 1)
// (2) 100 이하의 수만 추출하는 filter()
numbers = numbers.filter((x) => x <= 100)
// (3) 5로 나눈 나머지가 0인 수만 추출하는 filter()
numbers = numbers.filter((x) => x % 5 === 0)
// 출력합니다.
console.log(numbers)
확인할 점은 함수에다가 조건식을 return 하라고 명령하고 그 조건식을 참으로 만드는 매개변수 값을 집어넣어 주면 true를 리리턴한다는 점이다. 오류 안난다.
function aaa (x) {
return x < 100
}
console.log(aaa(90))
'자바스크립트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단한 추상화 연습: 성적 데이터 관리 코드[혼공자 9-1-2] (0) | 2023.04.05 |
---|---|
혼공자 콜백함수 (0) | 2023.04.03 |
break 키워드와 continue 키워드 사용하기 (0) | 2023.04.01 |
while 문은 for 문과 거의 같다. (0) | 2023.04.01 |
for 반복문과 push 메서드의 조합 (0) | 2023.04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