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 썸네일형 리스트형 메모리: 변수와 상수 그리고 불변하다와 불변하지 않다. [ JS문법 종합반 3주차] 자바스크립트의 메모리 관리 방식에 있어서 [변수]와 [상수]의 차이점은 뭘까? 불변하다와 불변하지 않다의 차이점은 뭘까? 일단 큰 그림은 스파르타 코딩클럽 [JS 문법 종합반 ] 3주차 데이터 타입 부분 강의자료를 보자. (개인 pc에 저장함,링크는 생략) 말로 설명해 보자. [변수]와 [상수]의 차이점은 메모리에서 변수 영역의 주소값이 바뀔 수 있으면 [변수], 바뀌지 못하면 [상수]다. 변수 부분의 주소값은 항상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중 하나를 가리키게 된다. 여기서 [변수]에 대한 변수 영역 메모리라면 어떤 데이터 영역을 가리킬지 그 주소를 바꿔줄 수 있다. 그래서 아래처럼 a 라는 [변수] 에 새로운 값이 할당되면 7이라는 값의 주소가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새로 생기게 되고 메모리에서 a의 변수 .. 더보기 const로 상수를 만들면 바로 값을 지정해야 한다 [혼공자 확인문제 2-2-3] 아래 코드는 문제 없이 콘솔창에 출력된다. 변수 r 을 선언한 후 r에 10이라는 값을 부여했다. 하지만 아래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킨다. const r 로 상수를 선언하면서 값을 바로 지정하지 않고 그 다음줄로 넘어갔기 때문이다. 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이므로 아래처럼 값을 나중에 따로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언할 때 즉시 정한다. 따라서 아래에서는 첫줄의 r 에서부터 빨간줄이 쳐질 것이다. 해결방법이야 간단하다. const r = 10 이렇게 고치면 된다. 더보기 이전 1 다음